
저번에 티스토리 네이버 노출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렸었다. 이번에는 구글에도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길래 설명을 해보려고 한다. 티스토리에 플러그인을 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클릭을 하게 되며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오게 된다. 구글 콘솔에 들어가면 도메인과 접두어가 있는데, 도메인의 경우 내가 도메인을 산 경우에만 등록을 하는 경우인 것 같다. 현재 우리는 티스토리 소속 하에 만든 것이기에 URL접두어에 링크를 넣고 계속을 누른다. 우리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를 사용했던 방법과 똑같이 HTML메타 태그를 이용하여 등록을 할 것이니 HTML 태그를 복사를 한다. 티스토리에서 관리자 에서 스킨 편집에 들어가 html 편집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 여기에 복사한 메타태그를 넣은 후..

당연한 말이지만 네이버에서는 네이버 블로거를 우선적으로 보여줄 의무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티스토리는 자연스레 뒤로 물러나기 마련인데... 그렇다고 티스토리는 구글과 다음만 의존할 필요가 없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네이버에서도 노출이 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네이버에서 웹마스터 도구를 검색한다. 예전에는 웹마스터 도구였지만 현재는 서치어드바이저로 바뀌었습니다. 클릭하여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편의를 위해 위에 서치어드바이저에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해당 링크에서 조금만 내려보면 다음과 같은 이미지가 보인다. 웹마스터 도구 사용하기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해당하는 칸에 내 사이트를 등록을 할 수 있다. 하단에 사이트 목록은 현재 내가 등록한 사이트 목록을 볼 수 ..

사실 깃을 처음 접한 계기는 매우 단순하였다. 바로 개발 블로그를 만들고 싶었고, 오픈 저장소가 있다고 하여 GitHub를 알았고 그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을 설치해야 하길래 설치 방법 그대로 실행을 하였다. 하지만 깃을 어느정도 쓰면서 느낀 점도 있고, 다시 재설치 하다보면서 이 부분에서는 왜 이것을 선택하였는지 다시 한번 정리하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1. Git 이란? 깃이라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발을 하는 분들은 소스 코드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주로 Git은 GitHub를 사용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Git을 설치를 하게 된다. 2. Git 설치하기..

프로젝트를 할 때, 혹은 개발 관련 수업/강의를 듣다보면 확장자에 대한 추천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게 어디에 좋은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할 때가 있었다. 그래서 그 부가적인것을 필자가 오래 써보면서 느낀점과 함께 소개를 적으려 한다. 1. Live Server 개발을 해보신 분들이라면 거의 다 알고 계시는 Live Server다. 초창기 다른 에디터를 사용했을 당시에도 이런 비슷한 기능을 찾아서 꼭 설치하던 확장자다. Live Server은 정적 및 동적 페이지에 대한 코드를 실시간으로 개발 로컬 서버를 시작할 수 있는 확장자다. 일반적으로 이 Live Server 외에도 View In Browser도 있지만, 필자는 설치를 하지 않았다. 수업 강의를 진행하면서 이 확장자를 설치 추천을..

오래전부터 우리는 알집으로 사용을 하였다. 하지만 이전에 외장하드 안전제거를 진행할 때 알집의 문제로 인하여 안전제거가 잘 되지 않았고, 그때 찾은 프로그램이 반디집이었다. 사실 반디집은 이미 오래전에 알고 있었다. 바로 꿀뷰 친오빠가 이걸로 만화책을 알집을 풀지 않고 보는걸 처음 알게 되었는데 어디서 만들었는지 관심도 없었지만, 설치할 때 알게 되었다. 설치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동의 및 설치를 누른다. 닫기 버튼을 누르면 환경설정을 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사실 필자는 이 환경설정은 잘 모르겠다. 파일 확장자도 쓰이는 게 별로 없어서 필요한 것만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 듯하다. 이번에는 궁금하니 한번 1개만 설정해보도록 할 것이다. 다른 문제나 무엇이 달라진다면 다시 기록을 하도록 하겠다. 뭔가 ..

Visual Studio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는 앞서 이야기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macOS, 리눅스용으로 개발한 소스 코드 편집기이다. 디버깅, GIT, 구문 강조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검색하여 자신만의 소스 코드 편집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원하는 기능을 찾아 설치는 웬만한 오픈소스 코드 편집기는 해당이 되어있다. 아마 운영체제에 따른 화면에 보이는 내용이 다를 수도 있다. 현재 필자는 Window 10 Pro 사용자라 이러한 화면이 나왔으며, 다른 운영체제를 써보지 않아서 바뀌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니 화살표를 클릭해 본인에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하시면 된다. 여기서 설치 위치를 바꿀 수 있지만 특별히 가서 무언가 설정하는 일이 크게..

처음 코딩을 접한 방식은 우리 모두가 써보았을 법한 메모장이다. 중학교 때 홈페이지 만들기를 접하고 잊혔다가 필자는 17년도 웹퍼블리셔 과정을 통해 제일 접한 웹 에디터는 에디터 플러스였다. 먼저, 에디터 플러스에 대해 알아보자. 1. Edit Plus 장점 단점 - 한국에서 개발되어, 한국에 최적회된 프로그램이다. - FTP기능이 어렵지 않게 쉽게 수정이 가능하다. - 30일 이후는 유료결제가 필요하다. (20. 09. 08 기준 : 1인용 29,700) 장점과 단점은 필자가 느낀 점이다. 아마 학원에서 30일 이후에는 유료 결제 때문에 다른 에디터로 갈아타면서 좀 더 편리한 기능을 사용하게 되었다. 사실 에디터 플러스는 장단점을 알기도 전에 다른 에디터로 갈아탄 것 같았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접한 브..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node
- node.js
- programmers
- 리액트 썸네일
- 배열
- 노드
- Coding Test
- CSS
- array
- 코딩테스트
- Visual Studio Code
- mongodb
- 리덕스
- 리액트 유튜브
- node-sass
- 뷰
- 재공부
- 파이썬
- Git
- 자바스크립트
- 자바
- java
- 함수
- react
- Switch
- github
- redux
- 리액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