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주 쓰이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헷갈리는 map함수, 그래서 오늘은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물론 이 정리를 시작으로 개념정리가 되어도, 얼마든지 까먹을 수 있으니... 수시로 찾아와서 한번씩 점검을 하려 한다. 1. map function? map 함수는 callbackFunction을 실행한 결과를 가지고 새로운 배열을 만들 때 사용한다. (여기서 callback function은 다른 함수에 인수로 전달된 함수이며 외부 함수 내부에서 호출되어 일종의 루틴이나 작업을 완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arr.map(callback(currentValue, index, array), thisArg) map함수는 callback, thisArg함수를 가지고 있으며, callback은 currentValue, in..

오늘은 삭제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공부하려 한다. 먼저 우리는 저번에 추가한 추가하는 것을 function으로 분리를 할 수 있다. // src > index.js // 중략 const addToDo = (text) => { store.dispatch({ type: ADD_TODO, text }); }; const onSubmit = (e) => { e.preventDefault(); const toDo = input.value; input.value = ""; addToDo(); }; // 중략 store.dispatch를 원래는 onSubmit에 넣었는데 이 문구가 더 많은 일을 할 경우에는 분리를 하는 것이 좋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편리성을 위해서 function addToDo를 만들어서 onSu..

오늘은 다시 리덕스 공부를 위해 글을 쓰게 되었다. 먼저 index.html을 수정하도록 한다. To Dos Add 위 코드는 현재 html코드이며, 현재 수정한 부분은 태그 안에 값을 수정하였다. 그런 다음 index.js를 다음과 같이 바꿔준다. // src -> index.js const form = document.querySelector("form"); const 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 const ul = document.querySelector("ui"); const createToDo = (toDo) => { const li = document.createElement("li"); li.innerText = toDo; ul.appendChil..

Array 배열(Array) 정의 배열(array)은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입니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값을 배열 요소(element, 엘리먼트)라고 하며, 배열의 위치를 가리키는 숫자를 인덱스(index)라고 합니다. Array 객체로 배열 만들기 //배열생성 첫번째 방법 var 참조 변수 이름 = new Array(); 참조 변수 이름[0] = 값1; 참조 변수 이름[1] = 값2; ... 참조 변수 이름[n] = 값n; //배열생성 두번째 방법 var 참조변수이름 = new Array(값1, 값2, 값3, ..., 값n); //배열생성 세번째 방법 var 참조변수이름 = [값1, 값2, 값3, ..., 값n];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조 변수 이름'이라는..

parseInt(); parseInt() 정의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함수 parseInt() 문법 parseInt(string, radix); string - 분석할 값입니다. - 어떤 값을 입력해도 양의 정수, 음의 정수로만 표현이 됩니다. - 0x로 시작하면 16진법으로 처리합니다. - 문자열의 선행 공백은 무시합니다. - 첫 글자가 숫자로 변하지 않는 값일 경우, NaN으로 반환합니다. radix(진수) - 2~36까지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 공백일 경우 기본적으로 10진법으로 표현, 그러나 모든 브라우저가 되지 않을 수 있으니 명시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arseInt() 예제 parseInt에 대한 예제를 적도록 합니다. function solution(){ var a = parseI..

이번에는 실제 코드 테스트로도 나온 내용을 위주로 공부하였다. 그중에서 선택 정렬을 풀어보려고 한다. 과제 34. 선택 정렬 이미 정렬된 부분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 삽입하여 정렬하는 방식이다. 원래 코드는 임의의 숫자를 배열에 대입을 한 후 작은 숫자로 나열을 하는 것이지만 답이 이미 정해져 있는 것 같아, 거기에서 조금 더 응용하여 스크립트를 작성하였다. 랜덤 함수를 써보았다. 사실 아직까지는 이 함수 코드를 잘 쓰지 않다 보니 익숙지 않아서, 이렇게 써봐야 알 거 같아 쓰게 되었다. 프로젝트에서는 아직 쓰인적이 없어 아쉽지만 아쉬운 데로 한번 작성을 해보았다. 과제34 작은 숫자로 배열하기 배열과 함수는 알면알수록 어려우면서도 재미가 있는 문법인 것 같다. 순서도로 배우는 Java Script 국내..

오늘은 배열에 조금 더 어려운 코스를 해보려 한다. 이 문제들은 해본 결과 실제로 프로그래머스 등에서도 연습문제로 출제가 된 예시문과 많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지리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가 고안한 소수를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작수를 2로 한다. 시작은 2로 시작하고 자연수를 쭈욱 나열한다.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 2를 제외한 2의 배수에 해당하는 수를 지운다. 소수는 1과 자기자신을 가지기 때문에 1, 2를 가지고 있는 소수 2를 제외한 2의 배수를 지운다.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와 이런 생각 한번도 해보지 못하였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재공부
- programmers
- 파이썬
- CSS
- 리액트 썸네일
- 배열
- mongodb
- 리덕스
- 리액트 유튜브
- 자바스크립트
- node.js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Coding Test
- react
- 뷰
- node
- 자바
- Git
- java
- 코딩테스트
- array
- Switch
- 리액트
- 노드
- node-sass
- Visual Studio Code
- github
- redux
- 함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